손석희 JTBC 전 대표가 말하는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대한 언론의 인식과 과제” – 2015년 중앙 50년 미디어 콘퍼런스 (손석희 전 대표 강의 요약)
2015년 중앙 50년 미디어 콘퍼런스에서 당시 손석희 대표가 “뉴스룸의 변화”라는 제목의 강의 했었습니다. 이 때 이 강의를 들으며 내용이 조아서 페이스북에 내용을 요약해서 적어두었던 것을 다시 “경청”블로그에 옮겨봅니다. 7년이 지났지만우리가 […]
B2B 마케팅 전략, 2022년 트렌드 및 완벽 가이드
마케팅 기획 수립시 B2B 전략 수립 과정에서 고려해야할 SEO 요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2.09.22 by
Ascent Korea
디지털 마케팅은 변화가 빠른 디지털 환경과 더불어 소비자의 구매 수준이 상향됨에 따라 방식과 활용 방법이 점점 고도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9가지 유형과 특성을 소개합니다.
Discover-Engage-Convert 로 이어지는 고객 여정 별로 동영상 콘텐츠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알아 봅시다.
브랜딩이란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에 영향을 주기 위해 브랜드에서 의도적으로 취해는 행동을 의미합니다.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쉬운 멜로디 예를 들면 “1577~ 1577~”을 들 수 있겠습니다. 혹은 브랜드의 로고, 색상, 등 브랜드가 다른 경쟁자들과 구별하기 위한 노력이라고 표현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이런 복잡한 브랜딩에서도 7가지 공식만 따른다면 브랜드 전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더 이상 브랜드는 한 명의 천재 크리에이터가 완성시켜주지 않습니다. 브랜드는 끊임없이 고객과의 소통을 통해 완성됩니다. 오늘날의 브랜딩은 고객과의 관계와 의도적인 대화 속에서 공유된 가치를 발견하는 것입니다. 이를 가능하게 만든 것은 SNS의 발달과 함께 있습니다. 일방향 대화만 가능하던 미디어 환경 속에서 브랜드는 각각의 SNS를 소유하고 이를 통해 고객과 소통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고객들이 우리 브랜드에 대해서 어떻게 이야기하는지를 찾아내고, 해명할 것은 해명하고 좋아하는 부분은 강조함으로써 팬덤을 강화합니다.
2022.09.16 by
Ascent Korea
최근 ‘메타’가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습니다. 저조한 실적에 야심 차게 준비 중인 메타버스 사업도 아직은 불투명해 보입니다. 게다가 최근에는 인스타그램 사용자들이 인스타그램의 업데이트에 불만을 품고 온라인 청원 사이트에서 서명 운동을 […]
콘텐츠 마케팅에서는 각 채널별 페르소나 정의가 중요합니다. 동일한 메세지를 전달한다 하더라도 채널에 따라 그 이야기를 풀어내는 방식은 달라져야 합니다. 사람들이 멀티 페르소나를 가지고 각각의 채널에서 다른 톤앤 매너를 유지하는 것처럼 기업과 브랜드 또한 채널별 멀티 페르소나를 가져야 합니다. 다른 브랜드를 어떻게 채널별 콘텐츠 전략을 취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022.09.14 by
Ascent Korea
대표 5개국의 구글 이 외의 자국 검색엔진과 국가 내 점유율을 확인해보세요. 내가 타겟하는 국가의 어떤 검색엔진에서 SEO 최적화를 할 지 전략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2022.09.13 by
ascentkorea
크리스 크리스텐슨의 “일의 언어(Competing Against Luck: Story of Innovation and Customer Choice )“에는Jobs To Be Done Theory를 바탕으로 혁신을 완수하기 위해 기업이 관심을 가져야하는 것에 대한 그의 통찰이 담겨있습니다. 디지털 […]
2022년 4월 14일 일론 머스트는 트위터를 430억 달러에 인수하겠다고 제안했습니다. 그 조건으로 트위터 내의 가짜 계정을 5% 이내로 줄이는 것을 조건으로 내 걸었습니다. 2022년 7월 현재, 가짜 계정의 수가 5%를 […]
2022.09.08 by
Ascent Korea
BANT는 세일즈 매니저들이 잠재고객들을 정의하기 위한 네 가지 핵심정보를 담은 프레임워크로 예산 및 구매력, 결정 권한, 구매기간 등을 확인하는 영업 방법론 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