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천3백만명의 검색 데이터에서 찾아낸
고객 인텐트 기반의 새로운 마케팅!!

문의하기

Service

우리의 인텐트 마케팅은 ‘브랜드’와 ‘매출’을 함께 극대화합니다.

  • 리스닝 마인드

    산업별 고객의 수많은 인텐트를
    대시보드로 한 눈에 확인하고 싶다면?

  • 인텐트 마케팅

    원하는 답을 주지 못해서 떠나고 있는
    98.1% 잠재고객을 잡고 싶다면?

  • 검색엔진최적화

    왜 우리 콘텐츠는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상위에 노출되지 않을까?

  • 콘텐츠 전략

    트래픽과 전환율을 높이기 위해서
    어떤 콘텐츠를 만들어야 할까?

  • 일본 마케팅

    일본 시장에 성공적인 진출을 위한
    디지털 마케팅 A-Z 전략이 필요하다면?

  • SAMSUNG
  • KIA
  • GENESIS
  • BNVITT
  • DUNAMU
  • KB CARD
  • SHINHAN CARD
  • MARIE CLAIRE
  • GLOWPICK
  • FN NEWS
  • SHINHAN MYCAR
  • LG전자
  • SAMSUNG DISPLAY
  • KYOBO문고
  • KB BANK
  • KYOBO생명
  • LG Display
  • KB금융그룹
  • AUDI
  • SAMSUNG SDS
  • DIDIER DUBOT
  • AX
  • CHECK FINANCE
  • WELLSCARE
  • NESPRESSO
  • LF
  • LIIV MOBILE
  • HYUNDAI
  • Cheil
  • Deloitte Digital
  • Expedia
  • CJ ENM
  • KONICA MINOLTA
  • INNOCEAN
  • IO DATA
  • SK 플래닛

가장 최신의 마케팅 트렌드와 인사이트를 함께 공유합니다.

  • GEO를 바라보는 마케터의 관점: 생성형 AI시대 브랜드 검색 전략의 새로운 방향

    ChatGPT, Claude 등 생성형 AI가 일상화된 시대에 브랜드가 검색 결과뿐만 아니라 AI 답변에서도 인용되고 추천받기 위한 GEO(Generative Engine Optimization) 전략과 실행 방법론을 제시합니다.

  • 검색 데이터로 미래 신호를 포착하는 법: 선행지표가 만드는 마케팅 기회

    검색 데이터는 사람들이 행동하기 전 미리 드러내는 ‘미래 신호’입니다. “다이어트 식단표” 검색 후 헬스장 등록, “이직 준비” 검색 후 퇴사처럼 선행 검색 패턴을 분석하면 소비자의 미래 행동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AI와 결합해 검색 경로, 맥락, 심리적 니즈까지 파악하면 선제적 마케팅 전략 수립이 가능합니다.

  • 이커머스를 위한 SEO와 GEO 통합 전략

    AI 시대 이커머스는 SEO를 버리는 것이 아니라, GEO와 통합하여 “사람+검색엔진+AI” 모두에게 최적화된 콘텐츠 전략을 구축해야 합니다. 이커머스가 직면한 검색 환경의 변화 최근 일어나고 있는 검색 환경의 변화 속에서 검색 오가닉 […]

  • 2025년 AI 검색 시대의 핵심 전략 : AEO vs GEO, 어떻게 이해하고 어디에 집중할까?

    AI 시대에 가장 중요한 것은 검색 상단에 노출되는 것만이 아니라, AEO로 즉답을 제공하고, GEO로 브랜드 지식을 AI에 내재화시키는 통합 전략이 필수입니다. 2025년, 검색 환경의 근본적 변화 검색 환경은 또 한 […]

  • 인텐트 마케팅 혁명 : 검색 데이터로 고객의 욕망과 고민을 읽고 브랜드 성장을 설계하라

    국내에 ‘인텐트 마케팅’이라는 개념을 처음 알리기 시작한 리스닝마인드 팀에서는 『인텐트 마케팅 혁명』 책을 통해 실제 브랜드의 성장을 견인했던 구체적인 프레임워크 및 구체적인 사례를 전하고 있습니다.

  • [브랜드 검색 마케팅]의 핵심 (1) – 검색 데이터로 마케팅 성과를 관리해야 하는 이유

    마케터들은 브랜드의 상황을 진단하기 위해 브랜드 인지도, 이미지, 선호도 등 다양한 지표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복잡한 지표들을 하나로 단순하고 강력하게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최근 출간된 일본의 [지명검색마케팅]을 통해 검색데이터가 마케팅 성과지표로 활용되어야 하는 이유와 그 가능성에 대해 살펴봅니다.

  • [브랜드 검색 마케팅]의 핵심 (2) – 검색 데이터로 브랜드 성장을 관리하는 법

    브랜드의 성장은 매출과 연계됩니다. 그리고 매출을 가장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지표는 바로 브랜드 검색량입니다.
    브랜드 검색량 외에도 검색데이터는 타겟을 정의하고 브랜드의 장점을 확인하고, 캠페인의 효과를 측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브랜드가 성장하는 각 여정에서 검색데이터들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 알아봅니다.

  • 브랜드 검색 마케팅 : 고객이 스스로 찾아오는 새로운 마케팅 전략

    브랜드 검색 마케팅이란? 브랜드 검색 마케팅이란 고객의 검색행동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와 구매 의향을 높이는 효과적인 전략입니다. 『고객이 스스로 찾아오는 브랜드 검색 마케팅』 이라는 책을 통해 저자 타베 마사키는 […]

  • 카테고리 엔트리 포인트(CEP)를 활용한 소비자 행동 분석, 시장 확장, 그리고 브랜딩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행동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새로운 시장으로의 진출이나 미고객층의 확보를 목표로 할 때, 단순히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하는 것 이상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

  • Trend와 Comparison (추세와 비교) – 검색 Data의 이해

    ListeningMind는 검색 데이터를 통해서 검색자의 의도를 파악함으로써 사업, 마케팅, 제품 개발 등의 영역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들에게 도움을 드리는 서비스 입니다. 다른 글에서도 언급했지만 여기서 말하는 검색자의 의도는 검색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어떤 동기와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를 말하는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ListeningMind의 어떤 기능들을 통해서 검색 사용자의 의도를 분석하게 할 수 있는지를 추세와 비교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 검색 광고 캠페인을 위한 키워드 선정 방법

    성공적인 검색 광고 캠페인을 위해 일반적으로는전환율이 높고 광고비 효율성이 좋은, 즉 검색량은 크지만 CPC나 광고 경쟁도가 낮은 키워드를 찾으려 노력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광고 업무를 진행하다 보면 그런 이상적인 키워드를 찾는 […]

  • [인텐트 데이터 리포트] 가을 피부 고민, 한국vs일본 소비자는 어떻게 다를까?

    들어가며 다가오는 가을을 맞이하며 이번 9월 리포트에서 다뤄볼 내용은 바로 ‘가을 피부 관리’에서 발견한 소비자들의 피부 고민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본격적인 환절기에 접어들게 되면 계절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옷차림이나 […]

  • 글쓰기 AI와 마케팅의 미래

    디지털 마케팅을 둘러싼 환경 변화 2021년 4월에 애플이 iOS 14.5이 릴리즈 하면서 앱 추적 투명성(App Tracking Transparency)을 강화하더니, 2023년 7월에 구글이 2년간 유보했던 크롬에서의 제3자 쿠키 사용을 차단하는 정책을 드디어 […]

  • 광고 캠페인으로 흔들고 온드 미디어 콘텐츠로 주워담는 성공적 통합 SEO

    시장 퍼널(고객여정)을 지나는 동안 소비자들은 자신들이 궁금해하는 질문의 답을 본인이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채널에서 받아보고 싶어합니다. 따라서 자사 미디어 내의 콘텐츠들이 고객 여정 중인 고객들의 호출에 바로 답이 되어 제공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바로 SEO의 역할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콘텐츠 vs 테크, 구글 인덱싱에서 진짜 중요한 것은?

    구글 인덱싱의 핵심은 콘텐츠입니다. 센터피스와 토크나이제이션, 인덱싱 시그널까지 분석하며 SEO에서 왜 콘텐츠가 출발점인지 설명합니다.

  • 구글은 내 사이트의 이미지를 어떻게 인덱싱할까?

    웹사이트를 운영하다 보면 한 번쯤 이런 궁금증이 생깁니다.
    “우리 사이트 이미지가 구글 이미지 검색에 잘 노출되지 않는 이유는 뭘까?”

    사실 구글이 이미지를 어떤 기준으로 크롤링하고 인덱싱하는지를 알게 되면 이런 의문이 조금씩 풀립니다. 이 글에서는 구글이 이미지를 찾는 방식부터 인덱싱까지의 흐름, 그리고 실질적인 최적화 방법까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 Google은 왜 Search Central Deep Dive를 열었을까?

    필자주: 이 글은 2025년 7월 23~25일 3일간 방콕에서 열린 Google Search Central Deep Dive가 어떤 배경에서 준비된 것인지 필자가 추정한 내용입니다. 필자는 검색엔진을 리버스 엔지니어링 하는 어센트코리아의 접근 방식하에, Google이 […]

  • 자바스크립트는 SEO에 불리할까요? SEO 친화적인 자바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가 SEO에 불리하다는 인식은 과거의 이야기일 수 있습니다. 지금의 검색엔진들은 브라우저가 콘텐츠를 렌더링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HTML을 가져오고 자바스크립트와 CSS 를 추출하여 적용하여 인덱싱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자바스크립트로 생성된 페이지를 검색 엔진이 […]

  • SEO 전략 수립 : GA, GSC 구글 툴 제대로 활용하고 계신가요?

    SEO를 위해 가장 먼저 웹사이트의 현황을 데이터에 근거해 파악하는 것이 기본인데요. 구글 검색 관련 서비스의 활용 방법, 데이터간 차이의 원인, 그리고 구글 서치 콘솔의 버블맵 사용법까지 정리했습니다.

  • SEO 실무자를 위한 구글 검색 시스템 정리 가이드

    구글 SEO의 시작은 결국 구글을 깊이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합니다. 저희 어센트코리아는 최근 방콕에서 열린 Google Search Central 컨퍼런스에 직접 참여하며 그동안 단편적으로 이해했던 구글 검색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

  • 구글 트렌드 API 공식 지원 계획 발표, 주목할 점은?

    Google이 SCL DD 25 행사에서 구글 트렌드의 공식적인 API 지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기존에 제공하는 기능부터 API를 통해 어떤 데이터를 확인하고 변화될 점은 무엇일지 정리했습니다.

  • 크롤링 오류가 SEO에 끼치는 영향 – HTTP 상태코드, DNS 오류, 네트워크 오류

    검색엔진의 크롤러들은 크롤링 과정에서 여러 오류 유형이 발생하게 됩니다. 각 오류가 검색 엔진 최적화 (SEO)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주요 내용은 HTTP 상태 코드, DNS 오류, 네트워크 오류이며, 각 오류 발생 […]

  • 크롤링 예산 (Crawl Budget), 어디까지 알고 계시나요?

    크롤링의 중요성은 인지하고 있지만, 크롤링 예산(Crawl Budget)에 대해 얼마나 정확하게 알고 계시나요? SCL DD 2025에서 구글이 말한 크롤링 예산에 대해 개념부터 구성 요소, 확인 방법까지 정리했습니다.

  • 크롤링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SEO 시작점 크롤링에 대한 이해

    SEO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검색 엔진이 작동하는 방식 중 가장 첫번째 과정이자 SEO의 시작점인 크롤링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검색엔진이 웹사이트의 콘텐츠를 발견하고 이해하는 첫 단계를 담당하기 때문입니다. 크롤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이 […]

  • 브랜드 세일리언스와 카테고리 엔트리 포인트 전략

    브랜드가 시장에서 성장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기술의 발달로 인해 제품의 기능적 차별성은 점점 짧은 시간 안에 복제되고, 익일 배송 같은 혁신적인 유통 서비스 탓에 업체간의 유통 파워도 더 이상 비교 우위가 […]